종합소득세 사업소득, 또는 기타 소득에 해당하는 본인이 하고 있는 일의 업종코드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택스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업종코드에 해당하는 적용범위와 단순경비율이 표시되는 서비스입니다. 모두채움으로 자동입력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본인의 업종코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업종코드번호 조회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사업계획서등 각종 서류작성을 위한 업종코드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회사를 다니지만 사업소득이 있는 분
2. 프리랜서로 일하지만 업종이 한 개 또는 여러 개인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홈택스에서 신고과정 중 업종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회를 통해 정확한 코드번호를 알아내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또한 조회를 통한 결과 표시화면에서 귀속 업종코드모음자료를 다운로드(한글, 엑셀, pdf) 할 수 있으며 업종분류별 단순경비율이 표시되고 대분류, 세 분류등으로 분류되어 개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회를 실행합니다
1.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3. 검색란에 '업종코드'를 입력 후 검색합니다
4. 법인세, 종합소득세 신고유형 중 종합소득세 신고유형(단순경비율 업종코드 조회)을 선택합니다
5.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6. 업종 입력란에 본인의 직업형태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통신 판매'라고 입력하면 해당 업종코드번호가 조회됩니다
업종이 큰 분류 → 세분류 → 더 세밀한 이름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본인이 하고 있는 일과 가까운 것을 선택합니다
귀속연도를 기준으로 상세한 내용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통신판매업 중 sns마켓
귀속연도 | 2023 |
업종코드 | 525104 |
대.중.소 준류명 | 소매업, 통신판매업, sns마켓 |
기준 경비율 | |
적용범위 | sns 채널을 이용한 판매 등 |
7. 업종코드번호를 알아냈으니 종합소득세 사업소득 입력란에 업종코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종합소득세 관련 업종코드 조회 방법을 안내해 드렸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