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유용한 정보

부모급여 신청방법 및 지급일(2024년 지원금 확대)

by alien sound 2023. 10. 7.

만 0세, 1세 아이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주는 지원금이 부모급여입니다. 2023년 보다 2024년도에는 부모급여의 지원액수가 더 확대됩니다. 국내 저출산으로 인한 이러한 유형의 지원서비스는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만 이러한 정보를 놓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신청방법은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하여 할 수 있습니다

 

부모급여

아이를 출산한다는 것이 과거에는 가족, 이웃 간의 경사로 끝날일이었지만 이제는 국가와 지자체가 만세를 불러야 할 정도로 큰 경사스럽고 경건하기까지 한 일이 되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세계적으로 저출산은 흐름이지만 국내의 경우 심각할 정도의 저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정부에서는 팔을 거 둬 부치고 나설 수밖에 없는 일입니다. 그 누가 아이를 출산하여 키우길 싫어할까요? 다만 아이를 키우기에 너무나 각박하고 부담스러운 세상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단 1명의 아이를 출산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현실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다양한 출산과 관련한 급여들을 만들어 시행 중이며 앞으로 더 확대되는 것은 예상하기 쉬운 일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잘 이용하는 것 역시 정보를 잘 취합해서 이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정부에서 주관하는 공식적인 이런 서비스제도를 공부하다 보면 사실 조금 접근하기 어려운 사항들도 있습니다. 너무나 많은 정보들로 인하여 이해하는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실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이러한 '부모급여' 뿐만 아닌 다양하고 좋은 정보를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만 시간을 내기가 어렵거나 온라인화 되어있는 대한민국의 정보 시스템으로 아날로그 스타일의 정보수집에는 관심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출산 장려금 첫 만남 이용권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일일이 놓치지 않고 알고 싶다면  '국민비서'와 같은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비서 사용법

 

부모급여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가 태어난 날을 포함하여 60일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60일이 경과한 후 신청하게 되면 신청한 그달부터 부모급여가 책정됨으로 아이가 태어난 달의 급여가 소급적용되지 않습니다

  • 주민센터 방문
  • 정부 24 홈페이지

1.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은 아동 또는 부모 명의 통장사본과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또는 출산서비스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민센터에 가시면 어렵지 않게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정부24 홈페이지 이용

 

부모급여 신청

 

 

3. 아이가 출산했을 때 출생신고와 더불어 한 번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법원에 등록한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한 병원 조회
  • 출생증명서 파일 업로드

 

대법원 온라인 출생신고

 

 

부모급여 지급일과 지원 내용

급여는 매달 25일로 본인이 등록한 통장으로 들어옵니다. 부모급여는 2023년 시행한 서비스이며 2024년도에 지원규모가 더 확대됩니다. 

 

2023년 기준

  • 만 0세가 되는 아이/ 한 달 70만 원 지원
  • 만 1세가 되는 아이/ 한 달 35만 원 지원

 

2024년 기준

  • 만 0세가 되는 아이/ 한 달 100만 원 지원
  • 만 1세가 되는 아이/ 한 달 50만 원 지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