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단위로도 이용이 가능한 탄력적인 보육서비스로 합리적인 이용이 가능한 서울시 보육포털에 대한 내용으로 주요 기능인 우리 동네 어린이 집에 대한 내용과 보육서비스 예약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 보육포털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보육과 관련한 포털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편리한 기능들을 몇 가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길을 걷다가 우연히 어린이집을 발견한 적이 있다면 아마 이런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여기는 국립 같은데 혹시 정원이 다 찼을까? 남아있는 자리는 없을까? 들어가서 물어볼까?
내년에는 우리 아이도 어린이집에 보내야 하는데 여기를 데리고 와야 하는 건가?
문득 지나치면서도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다면 보다 편하게 온라인으로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인데요.
보육포털서비스의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주요 서비스
대표적인 기능인 어린이 집 검색과 보육서비스 예약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1. 온라인으로 우리 동네 어린이집이 어디에 얼마큼 있는지 알 수 있다.
*구 선택→동 입력→유형(국·공립, 법인, 민간 등)→특성(365일, 야간, 주말, 0세 전담반, 저녁식사 지원, 장애아, 다문화, 영아 및 방과 후 전담 등 다양)→평가 유무(인증된 곳)
위 과정으로 설정을 체크하고 '어린이집 검색'버튼을 누르면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곳이 표시되는데요.
*서울형 모아?
서울형 모아란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대체교사 및 보조교사를 공유하고 물품을 공동구매해 부담과 효율성을 증진하며 어린이집 간의 보육 격차를 해소하는 취지와 함께 상생과 저출생에 대한 대응을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유형입니다.
굳이 밖에서 일일이 탐문하지 않아도 돼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요.
또한 현재 정원과 현재인원이 표시되어 몇 명이 입소할 수 있는지도 판단할 수 있겠죠?
참고로 현재 서울시에서 국·공립 어린이집이 많이 설치된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자치구별 국공립 어린이집 | 설치 현황 |
송파구 | 108 |
강서구 | 102 |
강동구 | 98 |
은평구 | 96 |
서초구 | 94 |
구로구 | 93 |
노원구 | 89 |
양천구, 성북구 | 86 |
마포구 | 85 |
영등포구 | 84 |
성동구 | 82 |
위 표에 없는 자치구들도 종로구(28), 중구(25)를 제외하면 모두 30~60여 개로 많이 있는 편입니다.
2. 보육서비스 예약하기
육아를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경제활동 및 여건에 따라 현실적인 방안이 있어야 하는데요.
그 핵심인 시간제로 보육을 맡길 수 있는 선택적인 예약서비스를 하기 위함입니다.
그럼 어떤 방식으로 신청이 되나요?
예약을 접수하면 접수받은 내용이 해당 어린이 집에 sns로 전송되어 입소할 경우 내 연락처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보육 서비스 메뉴 선택→거점형 야간, 주말, 서울형 시간제, 휴일 등 선택.
그리고 구(ex/성북, 동대문구 등)를 선택하고 원하는 유형으로 설정하면 끝.
결과가 표시된 후 원하는 어린이집을 선택→지도에 표시→예약
*참고로 예약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그리고 많이들 궁금해하는 2가지 방식을 알려드릴게요.
거점형 야간보육?
거점형이란 지역 권역별로 지정한 어린이 집에서 야간보육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저녁식사도 제공하기 때문에 오후, 저녁시간에 근무 중인 부모님들이 이용하기 좋은 시스템입니다.
퇴근하면서 아이를 데리고 집으로 들어갈 수 있으니 합리적.(오후 3~4시부터 밤 9시 정도까지 운영)
서울형 시간제전문?
시간제단위로 이용할 수 있고 평일 07:30~19:30분까지 이용가능하며 1시간당 2천 원으로 부담이 없는 합리적인 보육방식인데요.
월 60시간까지는 이용이 가능하니 잘 활용하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6개월~7세까지)
1일 전에 사전예약하는 경우 어린이집 해당계좌로 결제하는 방식을 사용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보육포털은 이처럼 부모님들의 생활방식에 따라 아이들의 보육에 탄력적인 선택이 가능하니 잘 이용하시면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정보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충전소 근처에서 찾기, gs 칼텍스 요금 및 찾는 방법 (0) | 2025.03.07 |
---|---|
부동산 114 아파트 시세, 임장 전 한눈에 비교 분석 가능한 지표를 보다 (0) | 2025.02.25 |
요양보호사 월급 인상 필요한 이유, 낮은 이유 및 직업 전망 (0) | 2025.02.21 |
아파트 관리비 조회, 내가 사는 곳과 근처 다른 아파트 비교 분석하기 (0) | 2025.02.19 |
국민은행 모바일 번호표 발급! 도착하기 전 미리 뽑고 점심시간 아껴쓰기 (0) | 2025.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