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은 더 이상 특정한 분들이 아닙니다. 우리 그리고 이웃의 가족이며 우리들의 미래모습이기도 합니다. 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 내용과 맞춤형 돌봄 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독거노인 현재 기준
과거에는 독거노인이라고 하면 마치 소수에 해당하는 분들 마냥 이야기하는 분위기도 있었는데요.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고연령시대에 접어들었으며 지금의 중년에 해당하는 40~50대 분들이 노령층 인구가 될 때쯤이면 더욱더 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노인층의 인구와 비율이 지금보다 눈에 띄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그럼 현재 지금의 노령층 인구에 해당하는 분들 중에 독거노인에 해당하는 분들은 몇% 나 될까요?
일반적으로 노인, 또는 노령층이라고 하는 나이대가 65세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요. 사실 노인기초연금 또한 만 65세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년 전, 30년 전하고는 시대가 많이 달라졌는데요.
현재 70대에 해당하는 분들도 직업을 갖고 일을 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고 정부에서도 노령층 고용인력을 대폭적으로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즉 노인인구가 경제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참여하는 인구로 발전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2024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인구는 9,938,235명으로 거의 천만명에 육박하며 그중 1인 가구수는 2,196,738명에 이릅니다.
독거노인 비율 흐름 | |
2000년 | 16% |
2010년 | 18.5% |
2018년 | 19.3% |
2024년 | 22.1% |
비율로 보자면 65세 이상 어르신 중 22%에 해당하는 분들이 1인 가구로 볼 수 있으며 즉, 독거노인의 기준인 65세 이상의 1인 가구 비율이기도 합니다.
건강에 대한 눈높이와 관리, 의료보험 등 사회적인 시스템과 인식개선으로 인해 평균수명은 늘어나고 있고 노령층에 해당하는 분들 역시 인구의 큰 비중이 되었습니다.
다만 그만큼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분들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분들 역시 많아질 수밖에 없는데요.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그럼 정부에서는 독거노인을 위한 어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을까요?
사실 상당히 많은 도움이 되는 제도와 서비스가 시행 중이지만 몰라서 모르고 있는 내용들도 있을 거라 생각되는데요.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으로 운영되는 센터로 돌봄 문화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취약노인들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노인 돌봄 맞춤지원사업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자면...
주요 서비스 | 내용 |
안전지원 | 방문, 전화를 이용해 안부를 묻는 방식 |
사회참여 | 사회적 고립감을 집단프로그램을 통해 향상 |
생활교육 | 신체, 정신적 건강 유지 프로그램 |
일상생활 | 동행서비스, 식사준비, 청소등의 가사지원, 이동서비스 |
연계서비스 | 민간후원, 지원을 연계해 주는 서비스 |
특화서비스 | 상담, 진료 지원으로 우울감 극복 및 치료 |
대상자 선정기준
그럼 구체적으로 누가 대상자에 해당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 및 중점적인 대상자 선정기준
*만 65세 이상 기준으로 아래 내용에 해당하며 유사한 중복지원사업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수급자
*사회적 네트워크 단절, 신체기능저하, 정신적인 어려움등으로 인해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2. 은둔형 및 우울형 대상자 선정기준(특화 서비스)
가족, 이웃 등과의 접촉이 없어 고독사, 자살위험이 높은 군에 포함되는 경우.
은둔형이란 사회적인 네트워크 망에서 발견되기 어려운 유형으로 결국 민·관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경우입니다.
또한 고독사의 경우 사회적으로 뉴스를 통해서 많이들 접하셨을 텐데요.
우울형의 경우 만 65세가 아닌 만 60세 이상으로 하양조정이 가능하고 단체등의 자원봉사자와 연계해 가정에 직접 방문하며 말벗을 하는 방식으로 도움을 드립니다.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신청방법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가능하며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합니다.
*신청을 접수하게 되면 → 시·군·구에서 심의 후 → 대상자 선정 조사를 거쳐 → 서비스 제공 수립계획 및 수행기관에 승인을 요청.
*신청할 수 있는 사람/친족(배우자, 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이해관계인(이웃 등의 범위)
방문/거주자의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직접 신청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에서 검색어 입력란에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입력 후 검색→신청
다가올 미래
이제는 독거노인에 대한 인식 또한 바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 이유로 결혼 적령기가 늦어지고 있고 또한 결혼을 더 이상 필수로 생각하지는 않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문화로 스며들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즉 30~40대, 50대에서도 이미 결혼을 하지 않고 1인가구로 살아가는 분들이 늘어나며 자연스럽게 1인 독거노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질 거라 생각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향후 독거노인의 기준 역시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그렇게 되면 독거노인에게 제공되는 제도적인 서비스 등도 보다 더 구체적인 나이대별로 차별화될 수 있고 구분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들 가족의 이야기이며 누구라도 해당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정보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원 시니어클럽, 일자리 참여방법 및 신정기준 유형별 참고하기 (0) | 2025.01.12 |
---|---|
어르신 병원동행서비스 도움받는 내용, 이용 요금 및 신청 방법 (0) | 2025.01.11 |
수돗물 끓여먹기 괜찮냐구요? 마시기 걱정되면 수질검사 신청하세요 (0) | 2025.01.08 |
노인기초연금 2025년 누가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 선정기준액 및 수급액 비교 (0) | 2025.01.02 |
내가 3년차 이용중인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누구나 이용 가능한 상품 (0) | 2025.01.01 |
댓글